곰 라이프의 개인 퇴직연금 ing
- 소득공제를 받기위한 상품으로 가입을 했다.
-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.
1. 연금저축과 IRP 계좌와 합산하여 1년에 1,800만 원까지 저축 가능
2. 연금저축은 4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하고 IRP 계좌와 합산하여 700만 원까지 세액 공제됨(소득 구간에 따라 13.2% or 16.5%)
즉 700만원까지 저축했을 때 연말정산 92만 4천 원(700만*13.2%) 또는 115만 5천 원(700만*16.5%)의 세금이 환급됨
3. 연금저축과 IRP계좌 모두 시세차익과 배당 소득에 대해서는 과세 안되고 연금 수령때 저율 3-5% 연금소득세가 부과되어 세금 절감
(feat 20년 11월 당시 나름 공부한 내용이다.지금과 살짝 다를 수 있다)
가령 해외펀드를 통해 1,000만원 수익이 났을 때 일반 계좌는 154만 원 세금으로 떼고 846만 원 수령하지만 연금저축 계좌에서는 1,000만 원 수익을 그대로 가져갑니다. 연금저축계좌는 1년에 1,800만원까지 저축 가능하고 세액공제를 받은 400만 원을 제외한
1,400만 원은 세무상 불이익 없이 출금이 가능하다.
# 1. KODEX 미국채 울트라 30 무엇인가?
> 상장일 : 2018년 9월 12일. 보수는 0.3%. 미국채에 30년에 자산을 투자. 삼성자산 운영함. 순자산 231억. 미국 국채 30년 물 선물 가격을 기초로 하는 S&P Ultra T-Bond Futures Excess Return Index(이하 “기초지수”라 한다)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그 운용목적으로 함. 요즘 환율 사태로 매력 없음. 52주 14930 / 11330원
# 2.KODEX 미국 S&P500 선물(H)
> 2015.5.27 상장. 시가총액 : 942억 원. 보수 0.3%. 이 투자신탁은 CME(Chicago Mercantile Exchange, 시카고 상업거래소)에서 거래되는 주가지수선물 중에서 S&P500지수 E-Mini 선물 가격을 기초로 하는 S&P500 Futures Total Return Index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. 52주 17085원 / 10570원. 환율에 대해 영향이 없는 종목이다.
# 3.KODEX 골드선물(H)
> 2010.10.1 시가총액 2481억 , 연보수 0.68% ,52주 14370 , 10355원. 미국의 s&p 운용사가 산출하는 금에 대한 지수를 추종함. 환율에 영향을 받지 않음.
# 4.TIGER 소프트웨어
> 2012.5.15. 760억. Naver , 엔씨소프트 , 삼성, 카카오 비중이 70%. 0.4% 보수율. 거래율 무난
# 5.KINDEX 미국 S&P500
> 미국 뉴욕거래소 , 나스닥 cboe 시장에 상장된 대형주 500 종목으로 구성. 미국의 대표지수 s&p 500 추종. 2020.08.07, 300억. 수수료 0.09%
# 6.KODEX 미국 FANG플러스(H)
> Facebook , Apple , Amazon , Netflix , Google(Alphabet)
※미래에셋 IRP 계좌와 신한 알파 계좌 종목임
부록
곰 라이프는 총 5개의 연금을 보유 중이다.
https://gom-free-life.tistory.com/entry/19-개인연금?category=875650
#19 개인연금
곰 라이프의 개인연금 소개하기 곰 라이프는 총 5개의 개인연금저축이 있다. 1. 퇴직연금 계좌: 회사에서 DB형으로 가입이 되어 있다. 2006년부터 회사 생활을 해왔기에 나름 큰 금액이다. 2. 개인
gom-free-life.tistory.com
'미국 주식 배당 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53 2021년8월 배당금 정리 (28) | 2021.08.22 |
---|---|
#44 카드 포인트로 미국 주식 사는 방법(feat 2번째) (4) | 2021.08.17 |
#38 카드 포인트로 미국 주식 사는 방법(feat 1번째) (13) | 2021.08.13 |
#14 2021년 7월 배당금 정리 (7) | 2021.07.31 |
#2 미국 주식 첫 이자 배당금 (1) | 2021.07.25 |